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1.4℃
  • 구름조금강릉 5.6℃
  • 맑음서울 4.0℃
  • 구름많음대전 4.7℃
  • 흐림대구 5.6℃
  • 흐림울산 4.7℃
  • 흐림광주 5.6℃
  • 구름많음부산 6.9℃
  • 흐림고창 5.6℃
  • 구름많음제주 9.0℃
  • 맑음강화 5.5℃
  • 흐림보은 4.6℃
  • 흐림금산 4.7℃
  • 흐림강진군 6.7℃
  • 흐림경주시 5.9℃
  • 구름조금거제 6.3℃
기상청 제공

국세행정

세금감면 법인수 증가 경제어려움 반영

국세청 3분기 국세통계연보 공개
기업 접대비 줄었는데, 기부금은 증가
전자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발급도 증가

theTAX tv 채흥기 기자 | 기업들이 대체적으로 경영상 어려움 때문에 법인세를 감면한 법인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접대비는 감소했는데, 기부금은 늘어났다.

 

국세청이 29일 공개한 [2022년 3분기 국세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법인세 세액공제・감면 법인 수는 38만 개로 전년 35만 1,000개 대비 2만 9,000개(8.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은 9,534억 원으로  전체 중소기업 중 25.2%가 받았다. 

 

이와 함께 21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액은 3,746조 원으로 전년 대비 15.5% 증가했으며, 현금영수증 발급액도 142조 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다.

 

법인세 신고 법인 수는 90만 6,000개로 전년 대비 8.1% 증가했으며, 기부금도 5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으나 접대비는 11조 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 감소했고, 법인세 세액공제・감면 법인 수도 38만 개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국세청은 국세통계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세통계포털(https://tasis.nts.go.kr)을 개선해 29일 개통했으며, 시・군・(자치)구별, 남녀별, 연령별 국세통계를 제공하고 모바일에서 통계조회와 분석이 가능하도록 이용자 중심으로 개편했다. 

 

 

 

< 2022년 3분기에 공개하는 국세통계 주요 내용 >(자료 원문)

 

세금계산서

발급액 등

▪ ’21년 전자(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 발급액은 전년 대비 증가

 - 전자세금계산서 15.5% 증, 전자계산서 13.6% 증가, 현금영수증 15.4% 증가

법인세

신고 법인 수

▪ ’21년 법인세 신고 법인 수는 90.6만 개로 전년(83.8만 개) 대비 8.1% 증가

 - 서비스업(20만 개)이 가장 많았고,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역이 60.0% 점유

기부금

접대비

▪ ’21년 법인세 신고 법인의 기부금은  5.3조 원으로 전년( 5.2조 원) 대비 1.9% 증가

▪ ’21년 법인세 신고 법인의 접대비는 11.4조 원으로 전년(11.7조 원) 대비 2.6% 감소

법인세

공제

감면

▪ ’21년 법인세 세액공제・감면 법인 수는 38만 개로 전년(35.1만 개) 대비 8.3%(2.9만 개) 증가

 

 -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9,534억 원)은 전체 중소기업의 25.2%가 받음

 -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액은 2.6조 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

 

 

2

 

「2022년 3분기에 공개하는 국세통계」 주요 내용

 

 

 ’21년 전자(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 발급액은 전년 대비 증가

 

□ 국세청은 세무거래의 투명성 확보와 납세자의 발급・송달・보관 등의 불편 해소를 위해 전자(세금)계산서 및 현금영수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전자세금계산서: 과세대상 재화・용역을 공급하고 전자적 방법으로 발급하는 세금계산서

 

▪ 전자계산서: 면세대상 재화・용역을 공급하고 전자적 방법으로 발급하는 계산서

 

▪ 현금영수증: 가맹점이 재화・용역을 공급하고 현금으로 받은 경우 전자적 방법으로 발급하는 영수증

 

□ ’21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액(과세표준)은 3,746조 원으로 전년(3,243조 원) 대비 15.5%(503조 원) 증가하였으며,

 

 ○ 전자계산서 발급액도 559조 원으로 전년(492조 원) 대비 13.6%(67조 원) 증가하였습니다.

 

 

< 최근 3년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현황 >

 

< 최근 3년간 전자계산서 발급 현황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전자세금계산서 발급현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7pixel, 세로 37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전자계산서 발급현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7pixel, 세로 373pixel

 

□ ’21년 현금영수증 발급액은 142조 원으로 전년(123조 원) 대비 15.4% (19조 원) 증가하였습니다.

 

 ○ 업태별 발급건수는 소매업(21.9억 건)이 가장 많았고, 건당 발급액은 전문직(74.1만 원)이 가장 많았습니다.

 

 

< 최근 3년간 현금영수증 발급 현황 >

 

< ’21년 업태별 현금영수증 발급 현황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현금영수증 발급현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2pixel, 세로 42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5_업태별현금영수증발급현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10pixel, 세로 420pixel

 

 

 

 ’21년 법인세 신고 법인 수는 90.6만 개로 전년 대비 8.1% 증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1_1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4pixel, 세로 320pixel

 

□ ’21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은 90.6만 개로 전년 83.8만 개 대비 8.1%(6.8만 개) 증가하였습니다.

 

□ ’21년 법인세 신고 법인을 업태*와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 법인세 신고서상 기재된 주업종으로 분류 (여러 업종을 겸업하는 경우 주업종에 포함)

 

 ○ 업태별로는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 서비스업 영위 법인이 20만 개로 가장 많았으며, 제조업(17.8만 개)과 도매업(16.7만 개)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전년 대비 증가 법인 수(전체 6.8만 개)는 서비스업(1.6만 개), 부동산업(1.4만 개), 제조업(0.9만 개) 순

 

 

< ’21년 업태별 법인세 신고 법인 수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1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85pixel, 세로 379pixel

   * 서비스업: 소프트웨어 개발, 경영컨설팅, 광고 대행업 등을 포함

 

 ○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59.9%(전체 90.6만 개, 수도권 54.3만 개)를 점유하고 있으며, 법인세 신고 법인이 1만 개가 넘는 시・군・(자치)구는 서울 강남구를 포함하여 23개로 나타났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5_11_수도권숫자수정.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85pixel, 세로 922pixel

 

 

 

 ’21년 법인세 신고 법인의 기부금은 1.9% 증가, 접대비는 2.6% 감소

 

□ 기부금과 접대비는 법인세법상 일정 한도액 범위에서만 손금으로 인정되는 금액으로서, 무상 지출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업무 관련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비용입니다.

 

▪ 기부금: 특수관계 외의 자에게 당해 법인의 업무와 직접 관계없이 무상으로 지출하는 금품의 가액 (한도초과 시 이월공제 가능)

 

▪ 접대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당해 법인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자와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지출하는 금품의 가액 (한도초과 시 이월공제 불가능)

 

□ ’21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의 기부금과 접대비는 각각 5.3조 원, 11.4조 원으로 전년(기부금 5.2조 원, 접대비 11.7조 원) 대비 기부금은 1.9%(0.1조 원) 증가, 접대비는 2.6%(0.3조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최근 3년간 기부금 현황 >

 

< 최근 3년간 접대비 현황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6-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1pixel, 세로 41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6-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1pixel, 세로 414pixel

 

 ○ 법인의 업태별*로 살펴보면 기부금은 제조업(1.6조 원), 금융・보험업(1.3조 원), 서비스업(0.6조 원)순으로 많이 지출되었으며,

 

 ○ 접대비는 제조업(3.5조 원), 서비스업(2.1조 원), 도매업(2.0조 원) 순으로 많이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법인세 신고서상 기재된 주업종으로 분류 (여러 업종을 겸업하는 경우 주업종에 포함)

 

 

< ’21년 업태별 기부금 신고 현황 (상위 5개) >

 

< ’21년 업태별 접대비 신고 현황 (상위 5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8_수정.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1pixel, 세로 40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1pixel, 세로 403pixel

 

 

 

 ’21년 법인세 세액공제・감면 법인 수는 38만 개로 전년 대비 8.3% 증가

 

□ 세액공제와 세액감면은 다양한 정책적 이유로 부담해야 할 세액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경감해 주기 위해 조세특례제한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세액공제: 투자금액 등의 일정 비율을 납부할 세액에서 차감 (이월공제 가능)

▪ 세액감면: 산출세액의 일정 비율을 납부할 세액에서 제외 (이월공제 불가능)

 

□ ’21년에 세액공제・감면을 신고한 법인 수는 38만 개로 전년(35.1만 개) 대비 8.3%(2.9만 개) 증가*하였으며

 

   * (주요 원인) 중소기업의 세액공제・감면 법인 2.8만 개 증가 (’20년 33.9만 개, ’21년 36.7만 개)

 

 ○ 세액공제・감면액은 9.9조 원으로 일반법인의 외국 납부 세액공제액의 감소 등에 따라 전년(10.5조 원) 대비 5.7%(0.6조 원) 감소*하였습니다.

 

   * (주요 원인) 일반법인의 세액공제・감면액 1.2조 원 감소 (’20년 6.7조 원, ’21년 5.5조 원)

 

 

< 최근 3년간 법인세 세액공제・감면 신고법인 수 >

 

< 최근 3년간 법인세 세액공제・감면액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2_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1pixel, 세로 47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3_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1pixel, 세로 473pixel

 

 

< 최근 3년간 세액공제 현황 >

 

< 최근 3년간 세액감면 현황 >

통계번호 8-3-2                  (만 개, 조 원)

 

 계

중소

기업

일반

법인

법인 수

금 액

법인 수

금 액

법인 수

금 액

’19년

9.3

6.3

8.2

2.1

1.1

4.2

’20년

11.6

8.5

10.4

2.5

1.2

6.0

’21년

14.3

7.9

13.0

2.8

1.3

5.1

 

통계번호 8-3-8                  (만 개, 조 원)

 

 계

중소

기업

일반

법인

법인 수

금 액

법인 수

금 액

법인 수

금 액

’19년

22.4

2.1

22.4

1.3

0.03

0.8

’20년

23.5

2.0

23.5

1.3

0.02

0.7

’21년

23.7

2.0

23.7

1.6

0.02

0.4

 * 공제항목별 사업자 수를 합산한 것으로 다수의 공제・감면을 받은 경우 사업자는 중복 있음

** 중소기업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이며, 일반법인은 그 외의 법인

 

□ ’21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의 세액공제액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 중소기업은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가 1조 2,933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9,002억 원)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일반법인은 외국 납부 세액공제가 2조 2,76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1조 3,409억 원)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일반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와 신성장동력・원천기술 연구개발비 세액공제의 합계

 

 

 통계번호 8-3-2     < ’21년 법인세 세액공제 현황 (합계 상위 5개) >      (억 원)

 

구 분

 합 계

 중소기업

 일반법인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1+2)

26,342

12,933

13,409

 1. 일반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20,334)

(12,662)

(7,672)

 2. 신성장동력・원천기술 연구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6,008)

(271)

(5,737)

외국 납부 세액공제

23,736

967

22,769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11,624

9,002

2,622

생산성향상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7,105

229

6,876

 

□ ’21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의 세액감면액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 중소기업은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이 9,534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창업 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2,574억 원), 감염병 발생에 따른 특별재난지역 내 중소기업에 대한 감면(1,326억 원)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일반법인은 수도권 외 지역 이전 본사에 대한 감면이 2,888억 원으로 일반법인의 세액감면(총 3,953억 원)의 73.1%를 점유했습니다.

 

 

 통계번호 8-3-8     < ’21년 법인세 세액감면 현황 (합계 상위 5개) >       (억 원)

 

구 분

 합 계

 중소기업

 일반법인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

9,534

9,534

-

수도권 외 지역 이전 본사에 대한 감면

3,032

144

2,888

창업 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

2,574

2,574

-

감염병 발생에 따른 특별재난지역 내 중소기업에 대한 감면

1,326

1,326

-

수도권 외 지역 이전 공장에 대한 감면

1,205

907

298

 

 

 

 ’21년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9,534억 원)은 전체 중소기업의 25.2%가 받음

 

□ ’21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의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은 9,534억 원으로, 전체 중소기업(83.3만 개)의 25.2%를 차지하는 21만 개 법인이 세액감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감면대상 업종(제조업, 도・소매업 등 48개 업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에 한해 해당 사업장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법인세에 일정 비율(5~30%)을 곱하여 계산한 세액상당액을 감면

 

 

< 최근 3년간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 현황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85pixel, 세로 349pixel

 

 

 

 ’21년 법인세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액은 2.6조 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

 

□ ’21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의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액*은 2.6조 원(3.8만 개)으로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연구・인력개발비로 지출한 금액에 일정 비율을 곱한 금액을 법인세에서 공제하는 조세지원 제도로서, 일반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와 신성장동력・원천기술 연구개발비 세액공제의 합계

 

 ○ 업태별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2.1조 원으로 전체의 80.1%를 차지하고 서비스업(0.3조 원), 도매업(0.1조 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최근 3년간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현황>

 

< ’21년 업태별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액 >

통계번호 8-3-3                      (만 개, 억 원)

 

중소

기업

일반

법인

법인 수

금 액

법인 수

금 액

법인 수

금 액

’19년

3.4

22,305

3.3

12,647

0.1

9,658

’20년

3.8

26,431

3.6

13,017

0.2

13,414

’21년

3.8

26,343

3.7

12,933

0.1

13,41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세통계 그래프_04_3(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6pixel, 세로 308pixel

* 중소기업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이며, 일반법인은 그 외의 법인

 

 

3

 

「국세통계포털(TASIS) 개선」 주요 내용

 

□ 국세청은 국민들이 국세통계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국세통계포털(TASIS)을 편리하게 개선하여 9월 29일 개통합니다.

 

 ○ 지역 등으로 세분화된 국세통계는 관심도가 높음에도 각각의 통계표를 직접 찾아봐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시・군・(자치)구별, 남녀별, 연령별 등으로 구분된 ‘유형별 국세통계’ 콘텐츠를 제공하고,

 

 ○ 모바일(스마트폰, 테블릿)에서도 최적화된 화면*으로 국세통계 조회, 맞춤형 분석 기능, 테마통계 콘텐츠 등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중심으로 개선하였습니다.

 

   * 접속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반응하는 ‘반응형 웹 서비스’ 적용

 

 

< 국세통계포털(TASIS) 메인화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df0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5pixel, 세로 552pixel

   * 국세통계 조회 및 내려받기, 맞춤형 분석 기능, 테마통계 콘텐츠 등 제공

 

□ 앞으로도 국세청은 통계 이용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통계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시・군・(자치)구별, 남녀별, 연령별 등으로 세분화된 유형별 콘텐츠 제공

 

□ 종전 국세통계포털(TASIS)에는 전체 국세통계 중 세목별로 중요한 통계 추출한 ‘주요 국세통계’(총 68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 지역별, 연령별, 남녀별 등으로 세분화된 유형별 국세통계가 궁금할 경우에는 조회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통계표별로 흩어져 있는 시・군・(자치)구, 남녀, 연령 등으로 구분된 국세통계를 한데 모아, 이용자가 손쉽게 조회할 수 있는 ‘유형별 국세통계’(총 285개) 콘텐츠를 새롭게 제공합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20920 국세청 진행상황보고서 분류표 인포그래픽_02_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91pixel, 세로 639pixel

   * 지역별, 남녀별, 연령별 등으로 세분화된 ‘유형별 국세통계’의 세부 명세는 ‘국세통계 해설서’ 참조

 

□ 유형별 국세통계는 지역별(시・군・(자치)구* 단위 13개, 광역시・도 단위 117개), 세무관서별(세무서 단위 4개, 지방청 단위 41개), 남녀・연령별(남녀 구분 36개, 연령 구분 54개), 10분위(20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특별시・광역시의 자치구까지 제공. [예시] 서울 종로구 (○), 수원 권선구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65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4pixel, 세로 389pixel

   * ‘테마통계 > 유형별 국세통계’를 선택한 후 원하는 유형을 선택

 

< 시・군・(자치)구 국세통계 조회 (예시) >

 

 

○ 이용자가 원하는 발행연도, 지역, 세목, 통계표 및 항목을 선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79c3e2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77pixel, 세로 677pixel

 

 ○ 조회결과는 그래프와 엑셀로 표시되며, 내려받기도 가능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9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2pixel, 세로 533pixel

 

 

 

 모바일 국세통계포털(TASIS) 서비스 개선

 

□ 인터넷 사용환경이 컴퓨터(PC)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국민 대부분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로 국세통계포털(TASIS)을 접속할 경우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이용편의를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 우선, 모바일(스마트폰, 테블릿) 기기에 따라 화면 크기가 자동으로 반응하도록 개선하여 최적화된 화면으로 국세통계포털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 이용자가 시계열과 항목을 선택하여 필요한 통계를 직접 만들 수 있는 맞춤형 분석 기능과 통계를 이해하기 쉽게 도표로 시각화한 테마통계 콘텐츠 등도 이용자 중심으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모바일 국세통계포털(TASIS) 서비스 (‘남녀별 국세통계’ 조회 예시) >

 ○ ‘유형별 국세통계’를 선택한 후 원하는 유형을 선택 (①,②)

 ○ 이용자가 원하는 발행연도, 성별, 세목, 통계표 및 항목을 선택 (③~⑥)

 ○ 조회결과는 그래프와 엑셀로 표시되며, 내려받기도 가능함 (⑦)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aa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3pixel, 세로 61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79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7pixel, 세로 60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79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0pixel, 세로 60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79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0pixel, 세로 5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정책브리핑제호.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pixel, 세로 33pixel     

 

담당 부서

기획조정관실

책임자

과  장

김용재

(044-204-2361)

<총괄>

국세데이터담당관실

담당자

사무관

이병주

(044-204-2367)

<협조>

개인납세국

책임자

과  장

최원봉

(044-204-3271)

 

전자세원과

담당자

사무관

안주훈

(044-204-3287)

<협조>

법인납세국

책임자

과  장

고근수

(044-204-3301)

 

법인세과

담당자

사무관

임경수

(044-204-3312)

 

 

담당자

사무관

김영주

(044-204-3322)

<협조>

법인납세국

책임자

과  장

박인호

(044-204-3901)

 

공익중소법인지원팀

담당자

사무관

이희범

(044-204-3922)

 

 

붙임1

 

「2022년 3분기에 공개하는 국세통계」 목록

 

 

합 계

종합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소비제세

국제조세

세무조사

기타

76

5

44

13

2

9

1

2

 

연번

구 분

통계번호

부 서

통계표 명

1

종합소득세

3-5-1

소득세과

종합소득세 결정·경정 현황

2

종합소득세

3-5-2

소득세과

종합소득세 주요항목 결정·경정 현황Ⅰ(주소지, 성, 연령)

3

종합소득세

3-5-3

소득세과

종합소득세 주요항목 결정·경정 현황Ⅱ(종합소득, 과세표준)

4

종합소득세

3-5-4

소득세과

종합소득세 가산세 결정・경정 현황

5

종합소득세

3-5-5

소득세과

종합소득세에 따른 농어촌특별세 결정・경정 현황

6

법인세

8-1-9

법인세과

법인세에 따른 농어촌특별세 신고 현황

7

법인세

8-1-10

법인세과

비영리법인 법인세 주요항목 신고 현황

8

법인세

8-2-3

법인세과

10분위 분포별 법인세 주요항목 신고 현황(소득금액)

9

법인세

8-2-4

법인세과

10분위 분포별 법인세 주요항목 신고 현황(총부담세액)

10

법인세

8-2-13

법인세과

법인세 분위별 신고 현황 및 점유비(수입금액)

11

법인세

8-2-14

법인세과

법인세 규모별 신고 현황 및 점유비 (수입금액, 과세표준, 법인규모, 총부담세액)

12

법인세

8-3-1

법인세과

법인세 소득공제 조정명세서 신고 현황

13

법인세

8-3-2

법인세과

법인세 세액공제 신고 현황

14

법인세

8-3-3

공익중소법인지원팀

법인세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신고 현황

15

법인세

8-3-4

법인세과

법인세 고용창출투자 세액공제 신고 현황

16

법인세

8-3-5

법인세과

법인세 중소기업 투자세액공제 신고 현황

17

법인세

8-3-6

법인세과

법인세 청년고용증대 세액공제 신고 현황

18

법인세

8-3-7

법인세과

법인세 중소기업 고용증가 인원에 대한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신고 현황

19

법인세

8-3-8

법인세과

법인세 세액감면 신고 현황

20

법인세

8-3-9

법인세과

법인세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 신고 현황

21

법인세

8-3-10

법인세과

법인세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신고 현황

22

법인세

8-3-11

법인세과

법인세 창업벤처중소기업 세액감면 신고 현황

23

법인세

8-3-12

법인세과

법인세 추가 납부세액 명세서 신고 현황

 

 

연번

구 분

통계번호

부 서

통계표 명

24

법인세

8-3-13

법인세과

최저한세 적용기업 법인세 신고 현황

25

법인세

8-3-14

법인세과

`법인세 접대비·기부금 신고 현황

26

법인세

8-3-15

법인세과

법인세 광고선전비・감가상각비 신고 현황

27

법인세

8-3-16

법인세과

법인세 근로소득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신고 현황

28

법인세

8-3-17

법인세과

법인세 정규직 근로자로의 전환에 따른 세액공제 신고 현황

29

법인세

8-3-18

법인세과

법인세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 신고 현황

30

법인세

8-3-19

법인세과

법인세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신고 현황

31

법인세

8-4-1

법인세과

법인세 재무상태표 주요 계정과목 명세

32

법인세

8-4-2

법인세과

일반법인 재무상태표 신고 현황

33

법인세

8-4-3

법인세과

일반법인 재무상태표 세부 계정과목 명세

34

법인세

8-4-4

법인세과

금융・보험・증권업 법인 재무상태표 세부 계정과목 명세

35

법인세

8-4-5

법인세과

법인세 손익계산서 주요 계정과목 명세

36

법인세

8-4-6

법인세과

일반법인 손익계산서 신고 현황

37

법인세

8-4-7

법인세과

일반법인 손익계산서 세부 계정과목 명세

38

법인세

8-4-8

법인세과

금융・보험・증권업 법인 손익계산서 세부 계정과목 명세

39

법인세

8-4-9

법인세과

법인세 제조원가명세서 계정과목 세부명세

40

법인세

8-4-10

법인세과

법인세 공사원가명세서 계정과목 세부명세

41

법인세

8-6-3

법인세과

지역별 신고 법인수Ⅰ(업태, 법인종류, 사업연도, 조정구분)

42

법인세

8-6-4

법인세과

지역별 신고 법인수Ⅱ(수입금액, 자산, 자본금, 소득금액, 과세표준, 총부담세액)

43

법인세

8-6-5

법인세과

업태별 신고 법인수Ⅰ(지역,법인종류,사업연도,조정구분)

44

법인세

8-6-5-2

법인세과

업태별 신고 법인수Ⅰ(시·군·구)

45

법인세

8-6-6

법인세과

업태별 신고 법인수Ⅱ(수입금액, 자산, 자본금, 소득금액, 과세표준, 총부담세액)

46

법인세

8-6-7

법인세과

중소기업의 지역별 신고 법인수Ⅰ(업태, 법인종류, 사업연도, 조정구분)

47

법인세

8-6-8

법인세과

중소기업의 지역별 신고 법인수Ⅱ(수입금액, 자산, 자본금, 소득금액, 과세표준, 총부담세액)

48

법인세

8-6-9

법인세과

중소기업의 업태별 신고 법인수Ⅰ(지역, 법인종류, 사업연도, 조정구분)

 

 

연번

구분

통계번호

부서

통계표 명

49

법인세

8-6-10

법인세과

중소기업의 업태별 신고 법인수Ⅱ(수입금액, 자산, 자본금, 소득금액, 과세표준, 총부담세액)

50

부가가치세

9-9-1

전자세원과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현황

51

부가가치세

9-9-2

전자세원과

전자계산서 발급 현황Ⅰ(지역)

52

부가가치세

9-9-2-2

전자세원과

전자계산서 발급 현황Ⅱ(사업자유형, 월)

53

부가가치세

9-9-3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발급 현황Ⅰ(지역, 업태, 발급금액)

54

부가가치세

9-9-4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발급 현황Ⅱ(월)

55

부가가치세

9-9-5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현황

56

부가가치세

9-9-6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가맹점 발급 현황

57

부가가치세

9-9-7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발급 현황Ⅲ(시・군・구)

58

부가가치세

9-9-8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발급 현황Ⅳ(전문직)

59

부가가치세

9-9-9

전자세원과

현금영수증 신고포상금 지급 현황

60

부가가치세

9-10-1

소득세과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 현황Ⅰ(수입금액)

61

부가가치세

9-10-2

소득세과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 현황Ⅱ(지역, 업태)

62

부가가치세

9-10-3

소득세과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 현황Ⅲ(업종)

63

소비제세

11-4

소비세과

개별소비세 감면 신고 현황

64

소비제세

11-6

소비세과

교통・에너지・환경세 감면 신고 현황

65

국제조세

12-1-2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업태별 법인세 신고 현황

66

국제조세

12-1-3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법인세 신고현황Ⅰ(소재지,업태)

67

국제조세

12-1-3-2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법인세 신고 현황Ⅰ(국가)

68

국제조세

12-1-4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법인세 신고현황Ⅱ(수입금액,자산,사업연도종료일)

69

국제조세

12-1-5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법인세 신고 현황Ⅲ(소득금액, 과세표준, 총부담세액)

70

국제조세

12-1-6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당기순이익(손실)규모별 법인세 주요항목 신고 현황

71

국제조세

12-1-7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주요업태별・수입금액규모별 법인세 주요항목 신고 현황

72

국제조세

12-1-8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법인 분위별 법인세 주요항목 신고 현황(수입금액)

73

국제조세

12-2-9

국제조세

담당관실

외국인투자법인 감면 현황

74

세무조사

13-11

첨단탈세방지

담당관실

FIU 제공정보 이용 조사 현황

75

기타

15-1-4

법무과

행정소송사건 처리 현황

76

기타

15-1-5

심사2담당관실

국선대리인 제도 운영 현황

 

 

붙임2

 

「국세통계 해설서」의 구성

 

그림입니다.

1. 국세통계 이해를 위한 기초 해설

  - 국세의 종류, 국세통계 작성 근거

  - 국세통계포털(TASIS)의 주요 서비스

    (지역별, 남녀별, 연령별 등으로 세분화된 ‘유형별 국세통계’ 세부 명세 등)

 

2. 국세통계 활용을 위한 안내 사항

  - 세목별 통계 작성 대상기간

  - 국세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 국세통계표의 일반적인 구조

 

3. 국세통계 공개 현황

  - 각 통계표(총 546개)별 분기별 공개 시기

 

4~17. 총괄・징수, 각 세목, 국제조세, 세무조사, 근로・자녀장려금 등 15개 분야

  - 각 분야별 개요, 기초통계, 통계표 구성항목, 질의・응답

 

 

 

붙임3

 

카드뉴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df0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6pixel, 세로 544pixel